2022년 동계 올림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2년 동계 올림픽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2022년 2월 4일부터 2월 20일까지 개최된 국제 스포츠 대회이다. 2015년 쿠알라룸푸르에서 알마티를 4표 차로 제치고 베이징이 개최지로 선정되었으며, 91개국이 참가하여 15개 종목, 109개의 세부 종목에서 경합을 벌였다. 노르웨이가 메달 집계 1위를 차지했으며, 대회 마스코트는 빙둔둔, 슬로건은 "함께 미래로"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동계 올림픽 - 2022년 동계 올림픽에 관한 논란
2022년 동계 올림픽에 대한 논란은 개최지 선정, 인권 문제, 외교적 보이콧, 선수 불만, 판정 논란 등 다양한 문제들을 야기했다. - 2022년 동계 올림픽 - 2022년 동계 올림픽 메달 집계
2022년 동계 올림픽 메달 집계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 정보를 바탕으로 금, 은, 동메달 수를 합산하여 순위를 결정하며, 메달 수가 동일할 경우 IOC 국가 코드 알파벳 순으로 순위가 결정되고, 2024년 1월 피겨 스케이팅 팀 이벤트 메달 재분배로 국가별 메달 현황에 변동이 있었다. - 2022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2022년 월드 게임
2022년 월드 게임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1년 연기되어 2022년 7월 미국 버밍햄에서 99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30개 공식 종목과 5개 초청 종목으로 진행된 국제 종합 스포츠 대회이며, 독일이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22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2022년 동계 패럴림픽
2022년 동계 패럴림픽은 2022년 3월 4일부터 3월 13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며, 46개국이 참가하여 5개 종목에서 78개의 경기가 열렸고, 중국이 메달 집계 1위를 기록했다. - 2022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2022년 동계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은 금메달 9개, 은메달 4개, 동메달 2개로 총 15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 2022년 동계 올림픽 선수단 - 2022년 동계 올림픽 노르웨이 선수단
2022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노르웨이 선수단은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등 다양한 종목에서 총 16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요하네스 팅네스 뵈는 바이애슬론에서 4개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2022년 동계 올림픽 | |
---|---|
기본 정보 | |
대회 명칭 | 제24회 동계 올림픽 |
슬로건 | 함께 미래로 |
슬로건 (영어) | Together for a Shared Future |
개최 도시 | 중국 베이징 |
'듀얼 올림픽 도시' | 双奥之城 (Shuāng'ào zhī Chéng) |
'듀얼 올림픽 도시' (영어) | Dual Olympic City |
대회 정보 | |
참가 국가 | 91개국 |
참가 선수 | 2,871명 |
경기 종목 | 7개 종목 109개 세부 종목 |
개막식 | 2022년 2월 4일 |
폐막식 | 2022년 2월 20일 |
개회 선언 | 시진핑 국가주석 |
폐회 선언 |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 |
성화 점화 | 디니거얼 이라무장 자오자원 |
주 경기장 | 베이징 국가체육장 |
이전 동계 올림픽 | 평창 2018 |
다음 동계 올림픽 |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2026 |
이전 하계 올림픽 | 도쿄 2020 |
다음 하계 올림픽 | 파리 2024 |
기타 | |
관련 웹사이트 | 베이징, 2022 동계 올림픽 개최 도시로 선정 |
2. 개최지 선정
2015년 7월 3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제128차 국제 올림픽 위원회 총회에서 2022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 선정을 위한 투표가 진행되었다.[7] 최종 후보였던 중국의 베이징과 카자흐스탄의 알마티가 경쟁한 결과, 총 85명의 IOC 위원이 투표에 참여했으며, 베이징이 44표를 획득하여 40표를 얻은 알마티를 4표 차이로 누르고 개최지로 최종 선정되었다.
이 결정으로 베이징은 역사상 처음으로 하계 올림픽(2008년)과 동계 올림픽을 모두 개최하는 도시가 되었다. 초기 유치 과정에서는 여러 도시가 관심을 보였으나, 재정 문제, 낮은 지역 지지율, 정치적 불안정 등을 이유로 다수가 입후보를 철회하였다.[9] 특히 유력 후보 도시 중 하나였던 노르웨이 오슬로는 IOC의 과도한 요구 사항[10] 등이 논란이 되면서 국내의 반대 여론에 부딪혀 유치를 철회하기도 했다.[15]
2. 1. 투표 결과
2015년 7월 3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제128차 국제 올림픽 위원회 총회에서 2022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 선정을 위한 투표가 진행되었다.[7] 당초 유치 과정에서는 오슬로(노르웨이), 알마티(카자흐스탄), 베이징(중국) 세 도시가 최종 후보로 선정되었으나,[8] 유력 후보였던 오슬로가 IOC 위원들에 대한 과도한 의전 요구[10][11][12][13][14] 등 개최 조건에 대한 비판 여론과 정치권의 반대로 인해 유치를 철회하였다.[9][15]이에 따라 최종 투표는 베이징과 알마티의 2파전으로 치러졌다. 총 85명의 IOC 위원이 투표에 참여했으며, 투표 결과 베이징이 44표를 획득하여 40표를 얻은 알마티를 4표 차이로 누르고 개최지로 최종 선정되었다. 기권은 1표였다.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은 결과를 발표하며 "국제올림픽위원회는 2022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베이징'을 발표하게 되어 영광이다"라고 말했다. 이 결정으로 베이징은 역사상 처음으로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을 모두 개최하는 도시가 되었다.
2. 2. 유치 과정
2022년 동계 올림픽 유치 일정은 2012년 10월 3일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가 각국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에 관련 일정표를 발송하면서 시작되었다.[7][269] 입후보 신청은 2013년 6월 6일부터 접수했으며, 마감일인 11월 14일까지 알마티(카자흐스탄), 베이징(중국), 크라쿠프(폴란드), 리비우(우크라이나), 오슬로(노르웨이), 스톡홀름(스웨덴) 6개 도시가 신청서를 제출했다.날짜 | 내용 |
---|---|
2012년 10월 3일 |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가 각국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에 유치 일정표 발송 |
2013년 6월 6일 | IOC, 입후보 신청 접수 시작 및 질문서 발송[269] |
2013년 11월 14일 | 입후보 신청 마감. 6개 도시(알마티, 베이징, 크라쿠프, 리비우, 오슬로, 스톡홀름) 신청 발표 (11월 15일) |
2013년 12월 4일 ~ 12월 6일 | 신청 도시 대상 세미나 개최 (스위스 로잔) |
2014년 3월 14일 | 신청 도시, 신청 파일(개최 계획 개요) 제출 마감[270] |
2014년 7월 7일 | IOC, 1차 선정 결과 발표. 오슬로, 알마티, 베이징 3개 도시 통과[8][271] |
2015년 1월 | 입후보 도시, 입후보 파일(상세 개최 계획서) 제출 마감 |
2015년 2월 ~ 3월 | IOC 평가위원회, 각 입후보 도시 시찰 |
2015년 5월 ~ 6월 | IOC 평가위원회, 평가 보고서 공개 |
2015년 7월 31일 | 제128차 IOC 총회(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지 베이징으로 결정 |
그러나 유치 과정에서 여러 도시가 재정 문제나 낮은 지역 지지율 등을 이유로 입후보를 철회했다.[9]
- 스웨덴 스톡홀름: 2014년 1월 17일 재정 문제와 지지율 부족으로 철회.[383]
- 폴란드 크라쿠프: 2014년 5월 25일 재정 문제와 지지율 부족으로 철회.
- 우크라이나 리비우: 2014년 6월 30일 유로마이단 사태 등 불안한 국내 정세로 철회.
- 노르웨이 오슬로: 2014년 10월 1일 재정 문제와 지지율 부족으로 철회.
특히 유력 후보 도시 중 하나였던 오슬로의 철회는 IOC의 과도한 요구 사항이 논란이 된 결과였다. 노르웨이 언론은 IOC가 위원들만을 위한 전용 도로 확보, 왕실 주관의 칵테일 리셉션 개최, 오슬로 시내 모든 광고 공간에 대한 통제권 등을 요구했다고 폭로했다.[10] 이러한 요구들은 서구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내용이었으며, 일부 언론은 IOC를 "사기꾼과 세습 귀족들이 운영하는 악명 높은 터무니없는 조직"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11][12][13][14] IOC의 "오만함"[15]에 대한 반감이 커지면서 결국 노르웨이 의회 다수가 유치 반대 의사를 밝혔고, 오슬로 시는 정부 자금 지원 신청을 철회하며 유치 경쟁에서 물러났다.
이 외에도 초기 유치를 고려했던 도시들은 다음과 같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사라예보
- 독일 - 뮌헨
- 프랑스 - 니스
- 루마니아 - 브라쇼브/프라호바 계곡
- 칠레 - 산티아고
- 스위스 - 장크트모리츠/다보스, 루체른/센트랄 스위스
- 오스트리아/이탈리아 - 유로주 티롤 - 남 티롤 - 트렌티노
- 캐나다 - 퀘벡
- 뉴질랜드 - 퀸스타운 - 크라이스트처치
- 스페인 - 바르셀로나, 사라고사
- 스웨덴 - 외스테르순드
- 미국 - 덴버, 리노 - 타호호, 솔트레이크시티, 보즈먼
- 핀란드 - 타흐코, 쿠오피오, 헬싱키
2014년 7월 7일, IOC 집행위원회는 1차 심사를 통과한 최종 후보 도시로 오슬로(노르웨이), 알마티(카자흐스탄), 베이징(중국) 세 곳을 선정했다.[8][271] 이후 오슬로가 유치를 철회하면서 알마티와 베이징의 2파전 구도가 형성되었다.
개최지 선정 투표는 2015년 7월 31일 오후 5시(현지 시각)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제128차 국제 올림픽 위원회 총회에서 진행되었다. 투표 결과, 중국의 베이징이 카자흐스탄의 알마티를 4표 차이로 누르고 개최지로 최종 선정되었다.
이 결정으로 베이징은 역사상 최초로 하계 올림픽(2008년)과 동계 올림픽을 모두 개최하는 도시가 되었다.
3. 경기 시설
2022년 동계 올림픽의 경기 시설은 크게 세 곳의 클러스터로 나뉘어 배치되었다. 이는 각각 베이징 지구, 옌칭 지구, 장자커우 지구이다.[18]
베이징 지구는 2008년 하계 올림픽 시설을 재활용하거나 개조한 경기장과 새로 건설된 경기장이 혼합되어 있으며, 주로 빙상 종목과 개·폐막식이 열렸다.[19] 옌칭 지구는 베이징 시내에서 북쪽으로 약 90km 떨어진 교외 지역으로, 주로 슬라이딩 종목과 알파인 스키 경기가 개최되었다.[29][30][31] 장자커우 지구는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충리구에 위치하며, 베이징 시내에서 약 220km 떨어져 있고 대부분의 설상 종목 경기가 이곳에서 열렸다.[32]
2021년 2월, 베이징 동계 올림픽 조직위원회는 대회에 사용될 26개의 모든 경기장(훈련 시설 포함)을 전적으로 재생 에너지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16][17] 각 지구별 경기장 및 시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3. 1. 베이징 지구
2022년 동계 올림픽을 위해 베이징 지구, 장자커우 지구, 옌칭 지구 등 세 곳에 경기장 클러스터가 조성되었다.[18] 베이징 지구는 6개의 경기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일부는 2008년 하계 올림픽 시설을 개조했고 일부는 새로 건설되었다.[19] 2021년 2월, 베이징 조직위원회는 이 대회를 위한 26개 경기장(훈련 경기장 포함) 전체가 재생 에너지로 운영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6][17]
베이징 지구에서는 올림픽 공원, 수도체육관, 우커송 스포츠 센터 등에서 5개의 빙상 경기(컬링, 아이스하키, 스피드 스케이팅, 피겨 스케이팅,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가 열렸다. 이들 중 일부는 2008년 하계 올림픽의 주요 경기장이었다. 스노보드와 프리스타일 스키의 빅 에어 경기는 스징산 구의 옛 공업 지대에 위치한 빅 에어 쇼우강에서 개최되었다.[20]
기존의 베이징 올림픽 선수촌 아파트는 2009년 말부터 일반 주거 단지로 전환되어, 동계 올림픽을 위한 선수촌이 새로 건설되었다. 새 선수촌은 국가올림픽체육센터 인근 올림픽 공원 남쪽에 자리 잡았으며, 주변 경기장에서 훈련하는 선수들이 이용했다.[21]
베이징 지구의 경기장 및 시설은 다음과 같다.
경기장 | 개최 종목 | 수용 인원 | 상태 |
---|---|---|---|
베이징 국가체육장 | 개막식, 폐막식, 시상식 | 80,000 | 기존 |
베이징 국가수영센터 | 컬링 | 3,795 | 개조 |
베이징 국립 실내경기장 | 아이스하키 | 19,418 | 기존 |
베이징 국가 스피드 스케이팅 체육장 | 스피드 스케이팅 | 11,950 | 신규 |
베이징 수도 체육관 | 피겨 스케이팅,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13,289 | 기존 |
베이징 우커쑹 스포츠센터 | 아이스하키 | 15,384 | 기존 |
빅 에어 쇼우강 | 스노보드 (빅 에어), 프리스타일 스키 (빅 에어) | 4,912 | 신규 |
베이징 2022 동계 올림픽 선수촌 | - | - | 신규 |
- '''베이징 국가체육장''': 鸟巢|냐오차오중국어(새 둥지)라는 별칭으로 유명하며, 2008년 하계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2022년 동계 올림픽의 개막식과 폐막식이 열렸다. 하지만 동계 올림픽 기간 동안 실제 경기는 열리지 않았다.[22]
- '''베이징 국가수영센터''': 国家游泳中心|궈자 유융 중신중국어, 일명 '워터 큐브' 또는 冰立方|빙리팡중국어('아이스 큐브')로 불린다. 2008년 하계 올림픽 당시 수영 경기장이었던 곳을 컬링 경기장으로 개조하여 사용했다. 수영장 위에 컬링 시트를 설치한 최초의 올림픽 경기장이 되었다.[23][24]
- '''베이징 국립 실내경기장''': 国家体育馆|궈자 티위관중국어. 2008년 하계 올림픽 당시 기계체조, 트램펄린, 핸드볼 경기가 열렸던 곳으로, 2022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우커송 스포츠 센터와 함께 아이스하키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27]
- '''베이징 국가 스피드 스케이팅 체육장''': 国家速滑馆|궈자 쑤화관중국어. '아이스 리본'이라는 별명을 가진 경기장으로, 2022년 동계 올림픽을 위해 새로 건설되었다.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가 이곳에서 열렸다.
- '''베이징 수도 체육관''': 首都体育馆|서우두 티위관중국어. 1968년에 건설된 오래된 경기장으로, 2008년 하계 올림픽 당시 배구 경기가 열렸다. 2022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과 피겨 스케이팅 경기를 위해 개조되었다.[28]
- '''베이징 우커쑹 스포츠센터''': 五棵松体育馆|우커쑹 티위관중국어. 2008년 하계 올림픽 당시 농구 경기가 열렸던 곳으로, 2022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아이스하키 경기를 위해 8개월간 개조되었다.[26]
- '''빅 에어 쇼우강''': 首钢滑雪大跳台中心|서우강 화쉐 다탸오타이 중신중국어. 2022년 동계 올림픽을 위해 새로 건설된 경기장으로, 폐쇄된 철강 회사 부지에 건설되었다. 프리스타일 스키와 스노보드의 빅 에어 종목 경기가 열렸다.[25]
3. 2. 옌칭 지구

2022년 동계 올림픽을 위해 설계 및 건설된 세 개의 경기장 클러스터 중 하나이다.[18] 샤오하이투오 산구에 위치하며, 장자커우시 충리구의 타이쯔청 지역과는 130km 떨어져 있다.
옌칭 지구에 위치한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시설 | 비고 |
---|---|
옌칭 국립 슬라이딩 센터 | |
옌칭 국립 알파인 스키 센터 | |
옌칭 메달 플라자 | 시상 |
3. 3. 장자커우 지구
장자커우 지구는 베이징시 북서쪽 교외의 허베이성 장자커우시 충리구 타이쯔청 지역 및 그 주변에 위치한다. 베이징 시내에서는 약 220km, 옌칭의 샤오하이투오 산구에서는 약 130km 떨어져 있다.[18][32] 이곳은 주로 고속철도와 징장 도시철도(충리 지선)의 타이쯔청역을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장자커우 올림픽 선수촌도 이곳에 설치되었다.알파인 스키, 봅슬레이, 루지, 스켈레톤을 제외한 모든 스키 종목과 바이애슬론 경기가 이곳에서 개최되었다. 주요 경기장 및 시설은 다음과 같다.
경기장 명칭 | 개최 종목 | 수용 인원 |
---|---|---|
장자커우 국립 바이애슬론 센터 | 바이애슬론 | 6,024명[32] |
장자커우 국립 스키점프 센터 (스노우 루이) | 스키 점프, 노르딕 복합 (스키 점프) | 6,000명[32] |
장자커우 국립 크로스컨트리 센터 | 크로스컨트리 스키, 노르딕 복합 (크로스컨트리) | 6,023명[32] |
겐팅 스노파크 - 파크 A | 프리스타일 스키 (스키 크로스), 스노보드 (스노보드 크로스) | 1,774명[32] |
겐팅 스노파크 - 파크 B | 프리스타일 스키 (하프파이프, 슬로프스타일), 스노보드 (하프파이프, 슬로프스타일) | 2,550명[32] |
겐팅 스노파크 - 파크 C | 프리스타일 스키 (에어리얼, 모굴) | 1,597명[32] |
장자커우 메달 플라자 | 시상식 | 해당 없음 |
이 지역의 스키 리조트는 2015-16년 겨울 시즌에 관광 수입으로 15.4억위안 이상을 벌어들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31.6% 증가한 수치이다. 2016년에는 올림픽 유치 성공 후 첫 스노우 시즌 동안 218만 5천 명의 관광객을 유치하여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32] 경기장 건설은 2016년 11월에 시작되어 2020년 말까지 완료되었다.[32] 2021년 2월, 베이징 조직위원회는 올림픽을 위한 모든 경기장이 전적으로 재생 에너지로 운영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6][17] COVID-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장자커우 지구 경기에도 일반 관중의 입장은 허용되지 않았고, 초청된 소수의 관중만이 경기를 관람할 수 있었다.[44][45][46]
3. 4. 선수촌 및 미디어촌
- 베이징 동계 올림픽 선수촌
- 옌칭 올림픽 선수촌
- 장자커우 올림픽 선수촌
- 중국 국립 컨벤션 센터
- 옌칭 미디어 프레스 센터
- 장자커우 겐팅 호텔 미디어 센터
4. 참가국
세계 반도핑 기구(WADA)는 2019년 12월 9일, 러시아 반도핑 기구(RUSADA)가 조작된 실험실 데이터를 조사관에게 넘겨준 사실을 확인하고 러시아에 대해 4년 동안 주요 국제 스포츠 대회 참가를 금지하는 결정을 내렸다.[385] WADA는 러시아 선수들이 2020년 하계 올림픽과 2022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려면 2018년 동계 올림픽 당시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단(OAR)처럼 중립 선수 자격으로만 참가해야 한다는 입장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전달했다.[386]
러시아는 WADA의 결정에 불복하여 스포츠 중재 재판소(CAS)에 항소했다.[387] CAS는 2020년 12월 17일, WADA가 러시아에 부과한 징계를 줄이라는 판결을 내렸다. 이에 따라 러시아 선수들은 올림픽을 포함한 국제 대회에 참가할 수 있게 되었지만, 2년 동안 '중립 선수' 또는 '중립 팀' 자격으로만 참가해야 하며, 러시아라는 국가명, 국기, 국가 사용은 금지되었다. 선수단 유니폼에 '러시아'라는 국명을 표시하고 국기 색상이 들어간 디자인을 사용할 수는 있지만, '중립 선수/팀'이라는 명칭과 동등한 크기여야 한다는 조건이 붙었다. 또한 선수단은 중립 선수단을 의미하는 별도의 기를 사용해야 했다.[388][389]
IOC는 2021년 2월 19일, 러시아 선수단이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를 뜻하는 약자인 "ROC"(Russian Olympic Committee)라는 명칭으로 참가한다고 발표했지만, 위원회의 이름 자체를 선수단 명칭으로 사용할 수는 없었다. 이에 따라 러시아 선수단은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기를 사용했다. 또한 팀 유니폼에 '러시아'라는 단어를 새기려면 '중립 선수'라는 용어를 함께 표기해야 했다.[390] 2021년 4월 22일, IOC는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가 시상식에서 국가 대신 표트르 차이콥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사용하는 계획을 승인했다.[391][392][393]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는 당초 러시아 민요 《카튜샤》를 사용하려 했으나, CAS가 러시아와 직접 관련된 노래는 사용할 수 없다고 해석함에 따라 계획을 변경했다.[394][395]
한편, IOC는 2021년 9월 8일, 코로나19 범유행을 이유로 2020년 하계 올림픽에 일방적으로 불참하여 올림픽 헌장을 위반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올림픽 위원회에 대해 2022년 말까지 자격을 정지하고 재정 지원을 중단하는 징계를 내렸다.[396] 이로 인해 북한 선수들은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국가 자격으로 참가할 수 없게 되었고, 중립 선수 자격으로만 참가가 가능했다.[397][398][399]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체육성과 올림픽 위원회는 2022년 1월 7일, 베이징 동계 올림픽 조직위원회, 중국 올림픽 위원회, 중국 국가체육총국에 보낸 편지를 통해 "적대 세력들의 책동과 세계적인 전염병 대유행으로 인해 참가할 수 없게 되었다"고 공식적으로 불참을 통보했다.[400][401] 북한 올림픽 위원회는 중국의 올림픽 개최 노력을 지지하며, 미국 등의 '반중국 음모 책동'을 비판하고 배격한다는 입장을 밝혔다.[402][403]
2022년 동계 올림픽에는 총 91개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가 참가했다. 아이티와 사우디아라비아는 이번 대회를 통해 동계 올림픽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케냐는 선수 1명이 출전 자격을 획득했으나 최종적으로 불참했다.[404] 지난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참가국 중 버뮤다, 케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싱가포르, 남아프리카 공화국, 토고, 통가는 불참했고, 미국령 사모아, 아이티, 페루, 사우디아라비아, 트리니다드 토바고, 미국령 버진아일랜드는 지난 대회 불참 후 이번 대회에 참가했다.
국가 | 선수 수 | 국가 | 선수 수 | 국가 | 선수 수 | 국가 | 선수 수 | ||||||||||||||||||||||||||||||||||||||||||||||||||||||||||||||||||||||||||||||||||||||||||||||||||||||||||||||||||||||||||||||||||||||||||||||||||||||||||||||||||||||||||||||
---|---|---|---|---|---|---|---|---|---|---|---|---|---|---|---|---|---|---|---|---|---|---|---|---|---|---|---|---|---|---|---|---|---|---|---|---|---|---|---|---|---|---|---|---|---|---|---|---|---|---|---|---|---|---|---|---|---|---|---|---|---|---|---|---|---|---|---|---|---|---|---|---|---|---|---|---|---|---|---|---|---|---|---|---|---|---|---|---|---|---|---|---|---|---|---|---|---|---|---|---|---|---|---|---|---|---|---|---|---|---|---|---|---|---|---|---|---|---|---|---|---|---|---|---|---|---|---|---|---|---|---|---|---|---|---|---|---|---|---|---|---|---|---|---|---|---|---|---|---|---|---|---|---|---|---|---|---|---|---|---|---|---|---|---|---|---|---|---|---|---|---|---|---|---|---|---|---|---|---|---|---|
알바니아 | 1 | 라트비아 | 57 | 산마리노 | 2 | 세르비아 | 2 | 미국령 사모아 | 1 | 레바논 | 3 | 사우디아라비아 | 1 | 슬로바키아 | 50 | 안도라 | 5 | 리히텐슈타인 | 2 | 슬로베니아 | 43 | 대한민국 | 63 | 아르헨티나 | 6 | 리투아니아 | 13 | 스페인 | 14 | 스웨덴 | 116 | 아르메니아 | 6 | 룩셈부르크 | 2 | 스위스 | 168 | 중화 타이베이 | 4 | 오스트레일리아 | 44 | 마다가스카르 | 2 | 태국 | 4 | 동티모르 | 1 | 오스트리아 | 106 | 말레이시아 | 2 | 트리니다드 토바고 | 2 | 튀르키예 | 7 | 아제르바이잔 | 2 | 몰타 | 1 | 우크라이나 | 43 | 미국 | 222 | 벨라루스 | 29 | 멕시코 | 4 | 우즈베키스탄 | 1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1 | 벨기에 | 19 | 몰도바 | 5 | 볼리비아 | 2 | 모나코 | 3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6 | 몽골 | 2 | 브라질 | 10 | 몬테네그로 | 3 | 불가리아 | 16 | 모로코 | 1 | 캐나다 | 215 | 네덜란드 | 42 | 칠레 | 4 | 뉴질랜드 | 15 | 중화인민공화국 (개최국) | 170 | 나이지리아 | 1 | 콜롬비아 | 3 | 북마케도니아 | 3 | 크로아티아 | 11 | 노르웨이 | 83 | 키프로스 | 1 | 파키스탄 | 1 | 체코 | 113 | 페루 | 1 | 덴마크 | 62 | 필리핀 | 1 | 에콰도르 | 1 | 폴란드 | 57 | 에리트레아 | 1 | 포르투갈 | 3 | 에스토니아 | 26 | 푸에르토리코 | 2 | 핀란드 | 95 | ROC | 212 | 프랑스 | 86 | 루마니아 | 21 | 조지아 | 9 | 독일 | 148 | 가나 | 1 | 영국 | 50 | 그리스 | 5 | 아이티 | 1 | 홍콩 | 3 | 헝가리 | 14 | 아이슬란드 | 5 | 인도 | 1 | 이란 | 3 | 아일랜드 | 6 | 이스라엘 | 6 | 이탈리아 | 118 | 자메이카 | 6 | 일본 | 124 | 카자흐스탄 | 34 | 코소보 | 2 | 키르기스스탄 | 1 |
5. 개최 종목
2022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총 15개 종목, 109개 세부 종목이 실시되었다. 이는 2018년 동계 올림픽에 비해 7개의 세부 종목이 새로 추가된 결과이다. 괄호 안의 숫자는 해당 종목에서 수여되는 금메달 수를 의미한다.
개최 종목 및 세부 종목 수 (금메달 수) | ||
---|---|---|
5. 1. 신규 세부 종목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2018년 7월 18일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집행위원회에서 다음 7개 세부 종목을 2022년 동계 올림픽의 신규 세부 종목으로 채택했다고 밝혔다.[405]6. 경기 일정
수
목
금
토
일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수
목
금
토
일
월
화
수
목
금
토
일
월
화
수
목
금
토
일